책 『전쟁에 동원된 남자들』은 베트남전쟁 참전군인 여섯 명과 참전군인 2세, 유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기록집입니다. 참전군인의 말과 함께 그들과의 만남을 자처한 학생, 예술가, 활동가 등 시민 여덟 명의 목소리를 담고 있습니다.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던 이들은 어느새 칠팔십 대 할아버지가 되었습니다. 이들은 한국의 첫 해외 파병과 귀국박스, 김신조 사건과 5·18민주화운동, 경부고속도로와 관제 데모,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운동과 고엽제 피해, 참전명예수당 등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들의 이야기 속에는 오늘날 민주주의 위기와 군대식 조직 문화, 가부장적 사회 구조의 폐해와 젠더 갈등, 세대 갈등을 조망할 수 있는 여러 단서가 담겨 있습니다. 긴 연휴에 지칠 때쯤 책 한 권 들고 카페 나들이 어떠세요? 아카이브평화기억이 기획한 『전쟁에 동원된 남자들』과 함께하시면 더욱 의미있는 시간이 될 거예요. 이어지는 기사와 서평을 먼저 읽어보신다면 책과 더욱 깊이 교감할 수 있습니다.
|
|
|
참전군인의 말을 ‘듣기’는 우리가 모르는 전쟁을 총체적으로 사유하는 과정이다. “순전히 ‘아무것도 연루되지 않은 나’로 오롯이 존재할 수 있는 사람이 우리 중에 누가 있겠어요. 연루됨은 우리가 자각하고 못하고의 문제지 연루되고 아니고의 문제는 아니거든요. 그랬을 때 자꾸 전쟁의 모든 원인을 참전군인한테 돌릴 것이 아니라 우리 인식의 한계를 깨는 작업도 해야지 않겠는가. 누군가를 심판하고 가해자-피해자 이분법을 공고히 하는 대신 그걸 좀 흔들고 우리도 스스로 흔들리는 성찰 지점이 있다면 저는 이 책이 제 구실하는 거라고 봅니다.” 석대표가 말했다. |
|
|
『전쟁에 동원된 남자들』을 읽으며 내가 베트남전쟁에 대해 얼마나 무지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지금까지 내가 베트남전쟁에 대해 주워들은 것이라고는 국가 주도의 미화된 애국 서사, 혹은 민간인 학살을 저지른 가해자인 참전군인 이야기 정도다. 그 사이 어딘가에 잃어버린 그들의 목소리가 있다. 누군가는 그 전쟁을 자랑스러운 과거로 여길 수도, 다시는 되풀이되어서는 안 될 역사로 여길 수도 있다. 삶의 여적을 들여다보면 동의할 수 없는 주장임에도 그 심정이 이해되기도 하고, 그럼에도 그건 아니라며 질문을 하고 내 생각을 말하고 싶어진다. 우리가 만나야 하는 건 그런 자리가 아닐까. 광장의 태극기와 성조기 깃발 아래서는 만날 수 없는, 한 인간의 고유한 역사가 이 책에 있다.
_김은화 작가 / 페미니즘 저널 '일다' |
나는 이 책을 베트남전쟁에 대한 또 다른 시선이자 기록으로 읽으면서도 동시에, 아니 더 크게는 '말'에 대한 책으로 읽었다. 이 인터뷰들은 여러 측면에서 말하는 자의 자격, 위치, 말하는 자와 듣는 자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맥락과 의미를 곱씹게 한다.
누가 전쟁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즉 베트남전쟁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사람은 누구인가에 대해 인터뷰의 기획자들은 그동안 소외되고 잊힌 목소리로 참전군인들의 말을 주목하는데, 나는 그들의 인터뷰 속에서 전쟁에 대한 말할 자격이 결국은 젠터화된 군사주의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데 주목했다.
_이용석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 브런치 매거진 '기억을 위한 기록'
|
|
|
한 사람의 전쟁 기억을 만나고, 사회적 기억으로 만들어 갑니다.
전쟁과 평화, 현재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만납니다.
전쟁세대와 후세대가 '역사'와 '평화'로 소통합니다.
일상에서 평화를 제안하고, 제도와 정책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켜 나갑니다.
'아카이브평화기억'은 시민 여러분의 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평화활동의 벗이 되어 주세요!
후원계좌: 국민은행 477401-01-258810 (아카이브평화기억)
|
|
|
아카이브평화기억의 활동 소식과 행사 정보를 더욱 가깝고 빠르게 전해드릴게요.
우리 친구해요😎 |
|
|
아카이브평화기억 뉴스레터, 어떻게 읽으셨나요? ✉️
아카이브평화기억 뉴스레터를 읽고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아래 설문을 통해 남겨주세요. 보내주신 피드백과 응원으로 더 좋은 뉴스레터를 만들게요. |
|
|
아카이브평화기억peacememo7@gmail.com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428 (낙원상가) 5층 500호 공익경영센터 NPOpia수신거부 Unsubscribe |
|
|
|
|